-
상업적인 이 세상은 우리에게 무언가 사라고, 돈을 쓰라고 유혹한다. 그래서 마케터들은 고객의 뇌를 더 깊게 파고든다.
어릴 때 부터 티비 프로그램에서 본 캐릭터 상품들을 선호하게 되고 이는 잠재적인 고객으로 길들여진다.
아이들은 광고를 보면서 내가 그것을 좋아한다고, 필요한다고 느끼게 된다.
어렸을 때의 소비습관은 어른이 되어도 똑같은 습관으로 남아있다.
자동차 매장 또한 어린이들을 유혹하기 위한 풍선을 설치해 아이에게 잘해주고 부모들에게 점수를 딴다.
아이들의 '조르기 힘'은 부모의 구매행동을 자극하고 이를 키즈마케팅이라고 한다.
성인 마케팅의 주요 타겟 대상은 여성 마케팅이며, 여성들은 쉽게 사고 많이 산다. 여성이 감정적으로 훨씬 더 나약하다. 판
매자가 본인이 필요로 하는 것을 미리 알고 이해했으면 한다.
여성이 음식과 옷만 사는 것도 아니다. 모든 범위의 상품을 구매한다.
부재자 쇼핑: 현장에 있지 않은 사람의 물건도 사는 것 마케터가 cctv를 이용해 고객들의 구매행위를 관찰한다. 관찰마케터
가 사람들이 어떻게 움직이고 교류하는지 관찰한다.
어떻게 쇼핑하는 지를 보고 분석하는 것이다. 쇼핑은 무의식속에서 진행된다.
우리의 행동 중 대다수의 부분이 뇌의 베타 상태에서 행동한다. 빙산의 수면 윗부분보다 의식이 적고 나머지 95%는 무의식
으로 결정한다.
상품을 보고, 만지고, 냄새를 맡고, 듣고, 맛보면서 기분이 좋아지고 이는 무의식적으로 구매로 이어진다.
광고를 볼 때도 모델이 아름답고 예쁘면 구매로 이어진다.
24시간 마케팅의 자극에 노출되어 있다. 보면 볼수록 사고싶어지는 것은 당연하고 이는 소비를 부축이는 것이다.(견물생
심) 머릿속을 더 깊이 분석하기 위해 뇌과학을 연구하기 시작한다.
마케팅: 직접 알리는 것
PR: 다른 연결점을 통해 알리는 것
광고: 계속해서 알려주는 것
브랜드 인지: 말하지 않아도 내 상품을 알아주는 것 소비에서 뇌에서 쿨 스팟이라고 불리는 대뇌 전두극부의 활성화가 일어
난다.
시각, 뉴런, 시냅스, 쿨스팟으로 이어진다.
뇌가 브랜드를 통해 그런 사람으로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편도라는 뇌의 감정영역에 브랜드가 자리잡으면 무의식적으로
그 브랜드를 구매하게 된다.
감정마케팅: 사람들의 감정을 사로잡는 마케팅 생존소비 < 생활소비< 과소비 < 중독소비 과소비 지수 = (월평균 수입 - 월
평균 저축) / 월평균 수입 0.7 과소비
0.6 적정소비
0.5 구두쇠
나는 씹 과소비자이다.
물건을 사는 4가지 유형, 소비의 4유형 Need 없어서 사는 것.
Broken 망가져서 사는 것.
Better 더 좋아보여서 사는 것.
No reason 그냥 사는 것.
인간이 소비할 때의 심리
1. 불안할 때 3. 우울할 때 4. 화났을 때 쇼 호스트가 가방을 들고 이야기할 때 시간이 촉박하다는 문구와 품절, 다 판매됐다
는 표현으로 통해 소비자를 불안하게 만든다.
학원 또한 다른 애들은 다 다니니 불안해서 학원을 보낸다. 사교육의 과소비는 다른 부모보다 못하다는 불안함.
축구부 또한 몇명을 벤치라고 하고 다시 선발이라고 이야기 했을 때, 배척당하는 것을 두려워했다가 기뻐하는 모습 대학생
들이 토론 후 토론하고 싶은 사람들을 적는다. 다음 토론에서 제외됐다는 말을 들은 사람들은 동전 그리기에서 동전을 더
크게 그렸다.
불안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나를 더 표출하고 싶을 때 소비에 영향을 미친다.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느끼는 것은 외로움이다. 외로움을 매꾸는 곳은 또래집단이고, 또래집단이 사면 나 또한 사야한다.
남들보다 못하다는 불안함이 소비를 자극하는 것.
2. 슬플 때
슬픔과 연결되는 가장 중요한 주제는 상실. 상실감이 크게 되면 그 빈 자리를 매꾸고 싶어진다.
어렸을 때 부터 형성되는 자존감. 자기 존재에 대해 가치 있게 생각하는 긍정적인 부분이 자존감이다.
이는 외모나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자존감이 낮아지면 이를 소비로 채우려고 한다. 겉보기에 좋게 보이
기 위해서.
내 안에는 현실 자아와 이상 자아가 있고 자존감이 낮으면 이 간극이 더 크다. 이 간극을 줄이기 위해 소비로 해결하려하고
이는 잠시나마 자존감을 올려 해결해준다. 하지만 더 큰 자존감 하락으로 이어진다.
반복되는 과소비는 중독 소비로 이어질 수 있다.
쇼핑을 할 때 뇌에서 도파민이 나온다. 이는 신경전달물질이며 우리 뇌는 이를 계속해서 만들어내려한다.
쇼핑중독: 미국 인구 중 약 10%가 쇼핑중독이며 그 중 90%는 여성이다.
-쇼핑중독 체크리스트
1. 쇼핑습관을 스스로 통제하지 못한다.
2. 쇼핑할 때 죄책감이 든다.
3. 쇼핑할 때 드는 돈과 시간이 점점 늘어나지만 별 감흥 없다.
4. 가족이 보지 못하도록 쇼핑한 물건들을 숨긴다.
5. 쇼핑은 긴장이나 불안감을 풀어주는 취미생활이다.
6. 물건이 필요해서보다 사는 행위를 즐긴다.
7. 쇼핑을 한 뒤 사용하지 않는 물건이 집안에 가득하다.
8. 주위에 돈 문제를 일으킬 정도로 쇼핑을 많이 한다.
9. 얼마나 쇼핑을 많이 하는지 알면 다른사람이 놀랄정도다.
10. 물건을 사면 기분이 좋아진다.
5,6,10 기분파
2,3,4,7,9 과다 쇼핑
1,8 쇼핑 중독
쇼핑 중독에 무력하다는 것을 내가 선언하면 이는 헤어나올 수 없다. 만약 중독이라면 주변 사람들에게 통제 되어야 한다.
마케팅이 쏟아지는 세상에서 자존감의 우산을 펴서 이를 막아낼 수 있어야 한다.
소비의 양을 늘리게 되면 행복해지나?
물질에 대한 소비보다 삶의 경험에 투자하는 것이 더 오랜 시간 기억에 남고 행복도도 오래 지속된다.
행복지수 = 소비 / 욕망, 소비를 늘려도 욕망 또한 같이 커지므로 행복할 수 없다.
'7분 전의 생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 하는 방법을 가지기 위해 꼭 있어야 하는 습관 - 목차편 (0) 2023.11.10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 3화 금융 지능은 있는가 요약 (1) 2023.10.21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 1화 돈은 빚이다 요약 (1) 2023.10.14 탕후루 칼로리 딸기, 샤인머스켓, 블랙사파이어, 토마토, 먹어도 될까? (1) 2023.10.13 노벨상 포스팅을 끝마치며 (3) 2023.10.11